렌더링과 Virtual DOM
1. 렌더링 과정
1. DOM(Document Object Model), CSSOM(CSS Object Model) 생성
가장 첫번째 단계는 서버로부터 받은 HTML, CSS를 다운로드 받습니다. 그리고 HTML, CSS파일은 단순한 텍스트이므로 연산과 관리가 유리하도록 Object Model로 만들게 됩니다. HTML CSS 파일은 각각 DOM Tree와 CSSOM으로 만들어집니다.
DOM(좌) CSSOM(우)을 시각화 한 그림 - 출처 : http://bit.ly/3137pmh
각 문서(HTML, CSS)가 어떻게 파싱되고 어떻게 DOM Tree가 되는지 자세한 과정은 Google 개발자 문서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좀더 TMI를 추가하자면 렌더링 엔진은 더 나은 사용자경험을 위해 가능한 빠르게 내용을 표시하게 만들어졌습니다. 따라서 모든 HTML 파싱이 끝나기도 전에 이후의 과정을 수행하여 미리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는 일부 내용들을 출력하게 됩니다.
2. Render Tree 생성
DOM Tree와 CSSOM Tree가 만들어졌으면 그 다음으로는 이 둘을 이용하여 Render Tree를 생성합니다. 순수한 요소들의 구조와 텍스트만 존재하는 DOM Tree와는 달리 Render Tree에는 스타일 정보가 설정되어 있으며 실제 화면에 표현되는 노드들로만 구성됩니다.
Render Tree 구조도 - 출처 : http://bit.ly/2Okn0fG
그러면 여기서 각 요소에 스타일 정보들이 설정되어 있는건 이해할 수 있겠는데 실제 화면에 표현되는 노드들로만 구성된다는 이야기에 "모든 요소는 다 화면에 표현되는거 아닌가?" 라는 의문을 가지실 것 같습니다.
결론을 말하면 네, 아닙니다. 간단한 예로 display: none 속성이 설정된 노드는 화면에 어떠한 공간도 차지하지 않기 때문에 Render Tree를 만드는 과정에서 제외됩니다. 여기서 조금만 더 팁을 드리자면 visibility: invisible 은 display: none과 비슷하게 동작하지만, 공간은 차지하고 요소가 보이지 않게만 하기 때문에 Render Tree에 포함됩니다.
3. Layout
Layout 단계는 브라우저의 뷰포트(Viewport) 내에서 각 노드들의 정확한 위치와 크기를 계산합니다. 풀어서 얘기하자면 생성된 Render Tree 노드들이 가지고 있는 스타일과 속성에 따라서 브라우저 화면의 어느위치에 어느크기로 출력될지 계산하는 단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Layout 단계를 통해 %, vh, vw와 같이 상대적인 위치, 크기 속성은 실제 화면에 그려지는 pixel단위로 변환됩니다.
Viewport 에 상대적인 요소 연산 - 출처 : http://bit.ly/3137pmh
여기서 뷰포트(Viewport)란 그래픽이 표시되는 브라우저의 영역, 크기를 말합니다. 뷰포트는 모바일의 경우 디스플레이의 크기, PC의 경우 브라우저 창의 크기에 따라 달라집니다. 그리고 화면에 그려지는 각 요소들의 크기와 위치는 %, vh, vw와 같이 상대적으로 계산하여 그려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viewport 크기가 달라질 경우 매번 계산을 다시해야 합니다.
4. Paint
Layout 계산이 완료되면 이제 요소들을 실제 화면을 그리게 됩니다. 이전 단계에서 이미 요소들의 위치와 크기, 스타일 계산이 완료된 Render Tree 를 이용해 실제 픽셀 값을 채워넣게 됩니다. 이 때 텍스트, 색, 이미지, 그림자 효과등이 모두 처리되어 그려집니다.
이 때 처리해야 하는 스타일이 복잡할수록 Paint 단계에 소요되는 시간이 늘어나게 됩니다. 간단한 예시로 단순한 단색 background-color의 경우 paint 속도가 빠르지만 그라데이션이나 그림자 효과등은 painting 소요시간이 비교적 더 오래 소요됩니다.
참고) Reflow와 Repaint, 브라우저 렌더링 최적화
2. VirtualDOM의 필요성
1.React의 Virtual DOM, Angular Change Detector는 왜 필요한가?
React나 Angular를 쓰면 웹 페이지의 성능이 매우 빨라진다고 들었을 거라 생각합니다. 저 역시도 원리는 모르지만 React나 Aangular가 순수하게 작성된 웹페이지보다 성능이 좋고 빠르다고 알고있었습니다. 이번 글을 정리하면서 원리가 무엇일까 궁금증이 들어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간단히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일반적으로 dom에 접근하여 여러번의 속성 변화, 여러번의 스타일 변화를 수행하면 그에따라 여러번의 Reflow, Repaint가 발생하게 됩니다. 하지만 Virtual DOM은 이렇게 변화가 일어나 Reflow, Repaint가 필요한 것들을 한번에 묶어서 dom에 전달하게 됩니다. 따라서 처리되는 Reflow, Repaint의 규모가 커질 수는 있지만 한번만 연산을 수행하게 됩니다. 이를 통해 여러번 Reflow, Repaint를 수행하며 연산이 반복적으로 일어나는 부분이 줄어들어 성능이 개선됩니다.
물론 프레임워크 없이 순수한 JavaScript로 똑같은 알고리즘을 구현할 수 있겠지만 실제로 구현하기에는 매우 어렵기 때문에 React, Angular가 이를 대신해주어 인기를 얻었다 생각합니다. 해당 내용은 velopert님의 블로그에서 참조한 내용이며 링크를 클릭하시면 좀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Virtual DOM
https://velopert.com/3236
자 이제 DOM 을 조작했을 때 어떤 작업이 이뤄지는지 알겠죠? DOM에 변화생기면, 렌더트리를 재생성하고 (그러면 모든 요소들의 스타일이 다시 계산됩니다) 레이아웃을 만들고 페인팅을 하는 과정이 다시 반복되는거죠.
복잡한 SPA(싱글 페이지 어플리케이션) 에서는 DOM 조작이 많이 발생해요. 그 뜻은 그 변화를 적용하기 위해 브라우저가 많이 연산을 해야한단 소리고, 전체적인 프로세스를 비효율적으로 만듭니다.
자, 이 이부분에서 Virtual DOM 이 빛을 발합니다! 만약에 뷰에 변화가 있다면, 그 변화는 실제 DOM 에 적용되기전에 가상의 DOM 에 먼저 적용시키고 그 최종적인 결과를 실제 DOM 으로 전달해줍니다. 이로써, 브라우저 내에서 발생하는 연산의 양을 줄이면서 성능이 개선되는 것 이지요.
업데이트: ugwe43to874nf4 라는 레딧유저님이 Virtual DOM 의 중요성을 더 알려주었습니다.
DOM 조작의 실제 문제는 각 조작이 레이아웃 변화, 트리 변화와 렌더링을 일으킨다는겁니다. 그래서, 예를 들어 여러분이 30개의 노드를 하나 하나 수정하면, 그 뜻은 30번의 (잠재적인) 레이아웃 재계산과 30번의 (잠재적인) 리렌더링을 초래한다는 것이죠.
Virtual DOM 은 그냥 뭐 엄청 새로운것도 아니고, 그냥 DOM 차원에서의 더블 버퍼링이랑 다름이 없는거에요. 변화가 일어나면 그걸 오프라인 DOM 트리에 적용시키죠. 이 DOM 트리는 렌더링도 되지 않기때문에 연산 비용이 적어요. 연산이 끝나고나면 그 최종적인 변화를 실제 DOM 에 던져주는거에요. 딱 한번만 한는거에요. 모든 변화를 하나로 묶어서. 그러면, 레이아웃 계산과 리렌더링의 규모는 커지겠지만, 다시 한번 강조하자면 딱 한번만 하는거에요. 바로 이렇게, 하나로 묶어서 적용시키는것이, 연산의 횟수를 줄이는거구요.
사실, 이 과정은 Virtual DOM 이 없이도 이뤄질수 있어요. 그냥, 변화가 있을 때, 그 변화를 묶어서 DOM fragment 에 적용한 다음에 기존 DOM 에 던져주면 돼요.
그러면, Virtual DOM 이 해결 하려고 하는건 무엇이냐? 그 DOM fragment를 관리하는 과정을 수동으로 하나하나 작업 할 필요 없이, 자동화하고 추상화하는거에요. 그 뿐만 아니라, 만약에 이 작업을 여러분들이 직접 한다면, 기존 값 중 어떤게 바뀌었고 어떤게 바뀌지 않았는지 계속 파악하고 있어야하는데 (그렇지 않으면 수정 할 필요가 없는 DOM 트리도 업데이트를 하게 될 수도 있으니까요), 이것도 Virtual DOM 이 이걸 자동으로 해주는거에요. 어떤게 바뀌었는지 , 어떤게 바뀌지 않았는지 알아내주죠.
마지막으로, DOM 관리를 Virtual DOM 이 하도록 함으로써, 컴포넌트가 DOM 조작 요청을 할 때 다른 컴포넌트들과 상호작용을 하지 않아도 되고, 특정 DOM 을 조작할 것 이라던지, 이미 조작했다던지에 대한 정보를 공유 할 필요가 없습니다. 즉, 각 변화들의 동기화 작업을 거치지 않으면서도 모든 작업을 하나로 묶어줄 수 있다는거죠.